본문 바로가기
세미나

3기 한국유네스코유산 기록프로젝트 - 천 개의 카메라 (경상남도 동부)

3기 한국유네스코유산 기록프로젝트
- 천 개의 카메라 (경상남도 동부)

<천 개의 카메라>는 후지필름이 주관하고 다큐멘터리사진가 성남훈이 협업하는, 사진으로 ‘오늘의 역사를 기록하여 내일에 전하려는’ 목적의 사회공익프로그램입니다.

<천 개의 카메라>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진 작업자들을 위하여 <한국유네스코유산 기록프로젝트> 3기를 시작합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은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담고 있으며, 유형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구분됩니다.

이 외에도 세계기록유산과 인류무형문화유산이 포함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경상남도 동부 지역(김해시, 양산시, 밀양시, 창원시, 고성군, 거제시, 통영시, 함안군, 창녕군 등 9개시군)과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풍부한 UNESCO 유산을 담아내고자 합니다.

주요 유산으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한국의 전통 산사'(양산의 통도사), 한반도 선사 문화의 걸작 '반구천의 암각화'(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및 천전리 명문),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가야고분군'(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탈춤'(부산 동래야류, 수영야류, 고성 오광대, 통영 오광대, 김해 오광대)과 한국의 대표적인 종합예술인 '농악'(진주삼천포 농악), 민속 노래 '아리랑'(밀양 아리랑)은 지역 주민들의 삶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공연과 축제를 통해 계승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일원으로서 음악(Music) 도시 통영시, 영화(Film) 도시 부산광역시, 공예와 민속 예술(Crafts & Folk Art) 도시 김해시의 창의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탐구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유산들은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문화 관광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외형적 기록을 넘어서 보존과 현대적 계승 과정을 심도 깊게 다루고자 합니다. 무형유산의 세대 간 전승 과정, 부산국제영화제, 울산고래축제와 같은 현대적 문화 행사, 생태계 전통 농업, 지역 특유의 자연 및 문화 복합유산에 대한 포괄적인 기록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세계유산 잠정목록인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창녕군 우포늪', '남해안 일대 공룡 화석지(고성군)'도 포함됩니다.

각 도별 지역 기반 사진가와 사진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참가하여, 매 기당 해당 지역의 유네스코 유산을 약 4개월에 걸쳐 촬영합니다. 세계보도사진상과 국내외 중요사진상을 수차례 수상한 다큐멘터리 사진가 성남훈이 멘토로서 프로젝트팀을 이끌고,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소속 대목수이자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리는 정명식이 프로젝트 매니저로 지원합니다. 사진 중심의 갤러리 류가헌 출판팀이 사진 아카이브와 도록 제작을 함께 진행합니다.

촬영된 작품들은 부산시의 스페이스 이신에서 10일간 전시됩니다. 각 기수별 전시 도록이 시리즈로 제작되며, 2026년 글로벌 네트워크 전시 및 워크숍(4월 예정), 2026년 전주국제사진제(4월 예정),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기념 전시(부산, 7월 예정), 2026 후지필름 포토페스타(8월 예정)에도 초청 전시될 예정입니다.

참가비는 1인당 25만원이며, 전시 및 도록 제작 등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제반 비용은 후지필름이 사회공익사업의 일환으로 전액 지원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경상남도 동부 지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다채로운 문화유산이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가 더욱 폭넓게 공유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2026년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가 부산에서 개최되어 약 3천명의 세계유산 대표자들이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이 프로젝트도 지속적으로 함께할 것입니다.


3기 모집정보

  • 참가대상 후지필름 유저 및 일반인
    *개인 카메라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해당 장비로 일정기간 촬영 경험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사진실력이나 경력, 배움의 정도와는 무관하게 참가가 가능합니다.
  • 모집인원 15명 (경남지역 거주자 10명 + 기타 지역 5명)
    *참가신청 및 취소, 대기 관련하여 페이지 하단에 기재된 안내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 참가비 25만원
  • 멘토 사진가 성남훈
  • 프로젝트 매니저 사진가 정명식
  • 프로젝트 대상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의 유네스코 유산,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다양한 문화유산
  • 모집기간 2025년 2025년 8월 29일 ~ 2025년 9월 3일
  • 멘토링 장소 스페이스 이신(부산 금정구 금샘로 24 금성빌딩 6층)
  • 멘토링 일시 9월 9일 (원격), 9월 21일, 10월 12일, 10월 26일, 11월 9일, 11월 23일, 12월 7일, 12월 21일 (원격)
    (총 8주 멘토링, 일요일 오후 2시-5시 / 3시간)
  • 전시 2026년 1월 9일 ~ 1월 18일
  • 전시장소 스페이스 이신
  • 오프닝 2026년 1월 9일 토요일 오후 4시 스페이스 이신

멘토 소개

사진가 성남훈

프랑스 파리 사진대학 ‘이카르 포토(Icart Photo Ecole de Paris)’에서 다큐멘터리를 전공, 프랑스 사진에이전시 ‘라포(Rapho)’의 소속 사진가로 활동하였으며, 전주대학교 사진학과 객원교수와 온빛다큐멘터리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사진집단 ‘꿈꽃팩토리’를 이끌고 있다.

1992년 파리 그랑 팔레, 1994년 도쿄 가디어 가든, 1996년 파리 국립사진센터, 2006년 갤러리 와, 2008년 한미사진미술관, 2010년 타슈켄트 국립사진센터,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 2016년 스페이스22, 2018년 일우스페이스 등 국내외에서 전시회를 열었으며, 1992년 프랑스 르 살롱 최우수사진상, 2004년 강원다큐멘터리작가상, 2006년 한미사진상, 동강사진상, 1994/1999/2009년 네덜란드 월드프레스포토상, 2017년 일우사진상, 2020년 라이카 오스카 바르낙상 파이널리스트를 수상하였다.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올림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예송 미술관, 영월사진박물관, 타슈켄트 국립사진센터, 국가인권위원회, 갤러리 와, 스페이스22등 다수의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으며, 출판물로 이데아 ‘꿈꾸는 들녘’ 타임 스페이스 ‘소록도’ 눈빛 ‘유민의 땅’ 기아대책 ‘아프리카에서 꿈을 찍다’ 눈빛 ‘불완한 직선’ 류가헌 ‘연화지정’ 류가헌 ‘패’등이 있다.

프로젝트 매니저 소개

사진가 정명식

현재 국가유산청에서 궁능유적을 정비하는 대목수로 재직 중이다. 2013년 원형질을 시작으로, 2016년 한옥 박람회, 2018년 러시아 VSUES 현대미술관, 2019년 이탈리아 한국문화원, 2019년 프랑스, 2020년 291 포토그랩스, 2024년 J94 갤러리에 이르기까지 국내외에서 다수의 개인전 단체전에 참가했으며, 한국의 재발견 시리즈를 발표하고 있다. 신세계 면세점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사진 엽서집이 판매되고 있으며, 공저로 늘봄 ‘한국의 세계유산’이 있다.

작품은 독일 쿤스트핸드베르크 박물관, 러시아 VSUES 현대미술관, 이스라엘, 도미니카공화국 대사관저, 아트스페이스J 등에 소장되어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

1. 목표

세계가 인정한 한국의 문화유산의 ‘오늘’을 다채롭게 기록하여 ‘내일’에 전하고자 합니다.

2. 방법

경상남도 동부 지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다채로운 문화유산이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되기를 기대하며, 10회의 멘토링을 통해 개인적인 사진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강화합니다.

3. 강의 계획

1주 (9월 6일 토) 오후 3시~
  • 강의 내용 <유네스코유산 2기> 전시 오프닝에서 만남을 통해 작업과 전시 노하우와 궁금한 점 공유하고, 설치 방법과 전시장투어, 전시파티에 참석. 2기 전시- 갤러리 초당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293) / 9월 6일 토요일 오후 4시
  • 과제 오프닝 전 오후 3시에 모여 대화
    (지역적 한계 상, 참가 필수 사항은 아니나 3기 활동 및 전시구성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주 (9월 9일 화)
  • 강의 내용 원격수업 : 카카오톡 3기 그룹채팅 및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 촬영지 및 기타 정보 제공
  • 과제 수업 내용 확인
3주 (9월 21일 일)
  • 강의 내용 1. 특강 / 대목수 정명식의 한국유네스코유산
    2. 각자의 지역선정
    3. 지역의 다양한 촬영지 연구해 발표(가벼운 리포트)
  • 과제 기존 개인작업 20장과 사전 촬영사진 30장 USB에담아오기(폴더명: 본인이름)
  • 방법 USB 3.0이상 또는 SSD
4주 (10월 12일 일)
  • 강의 내용 1. 이론 / 초상권, 자기작업 구성법. 지역다큐제작방법
    2. 작업 셀렉, 크리틱
  • 과제 지정된 대상지촬영
  • 방법 프로젝션
5주 (10월 26일 일)
  • 강의 내용 1. 이론 / 주제의 재해석과 포토스토리 제작법
    2. 작업 셀렉, 크리틱
  • 과제 지정된 대상지 촬영
  • 방법 프로젝션
6주 (11월 9일 일)
  • 강의 내용 1. 이론 / 진행되는 작업의 문제점과 장점 분석 1
    2. 작업 셀렉, 크리틱
  • 과제 지정된 대상지 촬영
  • 방법 프로젝션
7주 (11월 23일 일)
  • 강의 내용 1. 이론 / 진행되는 작업의 문제점과 장점 분석 2
    2. 작업 셀렉, 크리틱
  • 과제 지정된 대상지 촬영
  • 방법 프로젝션
8주 (12월 7일 일)
  • 강의 내용 1. 1차 전시, 전시도록, 영상편집용, 셀렉
    2. 작업노트 작성
  • 과제 리터칭과 작업노트
  • 방법 프로젝션
9주 (12월 21일 일)
  • 강의 내용 1. 최종 전시, 전시도록, 영상편집용, 최종셀렉
    2. 최종 작업노트
    3. 카카오톡 및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 사진 제출
  • 과제 원격 수업
10주 (2026년 1월 9일 토 ~ 18일 일)
  • 강의 내용 전시, 영상, 작가와의 대화, 오프닝 파티
  • 과제 지인 초대
  • 방법 전시

전시파티 프로그램

사진가 성남훈의 멘토링, 전시, 도록제작, 영상, 작가와의 대화, 오프닝까지 종합된 축제 형식

  • 멘토링 8회(촬영, 크리틱, 이론)
  • 전시(개인별 프린트 제공과 액자대여, 기타사항 제공)
  • 도록(고급편집, 개인별 일정 부수 제공, 비매품)
  • 영상(참여작가 작업 편집 영상)
  • 참여작가와의 대화(멘토와 15인의 참여작가)

참가자 특전

  • 2026년 글로벌 네트워크 전시 및 워크숍(4월 예정)
  • 2026년 전주국제사진제(4월 예정)
  •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기념 전시(부산, 7월 예정)
  • 2026 후지필름 포토페스타(8월 예정)
  • 2026 세계유산 국제 사진에세이 공모전 출품
  • 전시 및 파티 후지필름 지원
  • 오프닝

[안내사항]

  • 본 프로젝트는 각 지역 거주자를 우선으로, 경남지역 거주자 10명, 타지역 거주자 5명을 별도로 모집합니다. 경남지역 신청자는 회원 정보에 주소가 경남지역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첫번째 멘토링에서 거주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을 제시해야 합니다. (신분증, 주민등록증 등)
  • 대기자 발생 시,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프로젝트 지역 거주자가 아닐 경우 신청 취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모집 기간 내에는 취소자 발생 시 수시로 신청이 가능하며, 별도 대기 알람 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 모집 마감 후 결원 발생 시 대기자에게 순차 연락 드립니다.

[대기신청 방법]

  • 고객지원 > 1:1문의에 ‘3기 한국유네스코유산 기록프로젝트 대기신청’ 으로 작성 해 주시면, 모집마감 이후부터 1회차 멘토링까지 결원 발생 시 순차적으로 개별연락 드립니다.
  • 대기신청으로 인해 2회차부터 참가하시는 분께는 별도 보충수업을 제공하며, 참가비용은 동일합니다. 결제방법은 계좌이체로 제한됩니다. 개인 사정에 의해 1회차 수업에 결석하는 경우 보충수업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취소 및 환불 제한]

  • 개강 전 수강 취소 시 전액 환불 됩니다.
  • 참가 취소는 1회차 수업일 까지만 가능합니다. 이 경우 전체 참가비의 2/3를 환불하며, 2회차 이후부터는 참가비를 환불하지 않습니다. 공공적 기록프로젝트의 특성 상, 참가자 개인별 선정 지역을 커버해야 합니다. 또한 대기인원이 많은 프로그램으로, 참가를 원하는 다른 분들의 기회가 사라지지 않도록, 본인의 작업을 끝까지 완료하는 것을 전제로 참가 신청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가 신청 시 이와 같은 취소 및 환불조건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